About Fac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bout Face》는 핑크 플로이드의 미래가 불확실했던 시기에 데이비드 길모어가 제작한 1984년 솔로 음반이다. 앨범에는 제프 포카로, 피노 팔라디노, 존 로드, 스티브 윈우드 등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했으며, 피트 타운젠드가 가사 작업에 참여했다. 앨범은 팝적인 감성을 담아 제작되었으며, "Blue Light"와 "Love on the Air" 등의 싱글이 발매되었다.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앨범 홍보를 위해 대규모 콘서트 투어와 인터뷰, 뮤직 비디오 제작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이비드 길모어의 음반 - David Gilmour (음반)
데이비드 길모어의 데뷔 솔로 앨범인 《David Gilmour》는 1978년에 발매되어 빌보드 앨범 차트 29위에 오르고 골드 레코드를 기록했으며, "There's No Way Out of Here" 등의 싱글을 포함하고 2006년에 재발매되었다. - 하비스트 레코드 음반 - Chairs Missing
Chairs Missing은 1978년 와이어가 발표한 앨범으로, 펑크 록 영향과 프로그레시브, 사이키델릭, 아트 록 요소를 결합하여 포스트 펑크 사운드의 이정표가 되었으며, 사회 비판적 가사, 은유적 표현, 마이크 손의 참여가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었고,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하비스트 레코드 음반 - Live in London (딥 퍼플의 음반)
딥 퍼플이 1980년에 발매한 라이브 앨범 《Live in London》은 여러 국가에서 차트 순위에 올랐고 다양한 버전으로 발매되었으며 각 버전마다 수록된 곡 목록이 다르다. - 1984년 음반 - Like a Virgin
마돈나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라이크 어 처녀》는 나일 로저스의 프로듀싱으로 디스코, 팝, 록 장르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으며, "라이크 어 처녀", "머티리얼 걸" 등의 히트곡으로 마돈나를 슈퍼스타 반열에 올린 앨범이다. - 1984년 음반 - The Unforgettable Fire
《The Unforgettable Fire》는 U2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앰비언트 음악과 실험적인 구성을 도입하여 음악적 변화를 시도했으며, 상업적 성공과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About Fac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아티스트 | 데이비드 길모어 |
![]() | |
발매일 | 1984년 3월 5일 |
녹음 | 1983년 |
스튜디오 | 파테 마르코니 (파리) 애비 로드 (런던)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뉴 웨이브 소프트 록 하드 록 |
길이 | 45분 18초 |
레이블 | 하비스트 (영국) 컬럼비아 (미국) |
프로듀서 | 밥 에즈린 데이비드 길모어 |
이전 음반 | David Gilmour (1978) |
다음 음반 | On an Island (2006) |
싱글 | |
싱글 1 | Blue Light |
싱글 1 발매일 | 1984년 2월 13일 |
싱글 2 | Love on the Air |
싱글 2 발매일 | 1984년 4월 24일 |
2. 제작 배경
이 음반은 핑크 플로이드의 활동이 불확실했던 시기에, 데이비드 길모어가 자신만의 음악적 역량을 시험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길모어는 "정말 좋은 음반"을 만들고 "세계 최고의 뮤지션들"과 함께 작업하고 싶다는 목표를 세웠다.[26][4]
길모어는 당시 솔로 앨범을 제작한 이유에 대해 "나는 핑크 플로이드 없이 해낼 수 있는지, 그것을 알기 위해 이 레코드를 내고 투어를 했다"라고 밝혔다.[18]
전작 데이비드 길모어(1978년)와 비교하면, 본 작품은 음악적, 상업적 성공을 의식하여 제작되었다. 프로듀싱은 길모어와 밥 에즈린이 맡았다.[17]
2. 1. 참여 뮤지션
이 음반에는 다양한 장르의 유명 뮤지션들이 대거 참여했다.[26][22][4][7] 핑크 플로이드의 미래가 불확실했던 시기에, 데이비드 길모어는 "세계 최고의 뮤지션들이 저와 함께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목표를 가지고 이 음반을 제작했다.[26][4]주요 참여 뮤지션 | 역할 |
---|---|
데이비드 길모어 | 리드 보컬, 기타, 베이스, 프로듀싱 |
제프 포카로 | 드럼, 타악기 |
피노 팔라디노 | 베이스 |
이안 큐리 | 해먼드 오르간, 피아노 |
추가 참여 뮤지션 | 역할 |
스티브 윈우드 | "Blue Light"의 해먼드 오르간, "Love on the Air"의 피아노 |
앤 더들리 | 신시사이저 |
존 로드 | 신시사이저 |
밥 에즈린 | 키보드, 오케스트라 편곡, 프로듀싱 |
스티브 란스 | 페어라이트 CMI 프로그래밍 |
킥 혼스 | 금관 악기 |
루이스 자르딤 | 타악기 |
레이 쿠퍼 | 타악기 |
로이 하퍼 | 백 보컬 |
샘 브라운 | 백 보컬 |
비키 브라운 | 백 보컬 |
미키 피트 | 백 보컬 |
내셔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오케스트라 |
마이클 케이먼 | 오케스트라 편곡 |
기술 인력 | 역할 |
앤디 잭슨 | 엔지니어 |
키트 울번 | 엔지니어 |
제임스 구스리 | 믹싱 엔지니어; 리마스터링 |
에릭 아서 톰린슨 | 오케스트라 녹음 |
더그 색스 | 마스터링 엔지니어 |
마이크 리스 | 마스터링 엔지니어 |
스톰 소거슨 (STd (Storm Thorgerson Design)으로 기재) | 커버 디자인 |
토토의 제프 포카로(드럼), 피노 팔라디노(베이스), 스티브 윈우드, 존 로드(키보드) 등이 참여했다.[17] 또한, 딥 퍼플의 키보디스트 존 로드, 백 보컬리스트 로이 하퍼, 샘 브라운, 오케스트라 편곡자 마이클 케이먼 등도 앨범 작업에 함께 했다.[22][7]
2. 2. 녹음
이 음반은 핑크 플로이드의 미래가 불확실했던 시기에 엔지니어 앤디 잭슨과 함께 녹음되었다.[25] 영국 런던의 메이페어 스튜디오에서 제임스 거스리가 믹싱했다.길모어는 시간을 내어 "정말 좋은 음반"을 만들고 "세계 최고의 뮤지션들이 저와 함께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라고 말했다.[26] 음반에 참여한 뮤지션으로는 드러머 제프 포카로, 베이시스트 피노 팔라디노, 딥 퍼플의 키보디스트 존 로드, 백 보컬리스트 로이 하퍼, 샘 브라운, 오케스트라 편곡자 마이클 케이먼 (《The Pros and Cons of Hitch Hiking》, 《The Final Cut》, 《The Wall》), 키보디스트 스티브 윈우드 등이 있다.[22]
3. 음악 스타일 및 가사
《About Face》는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과는 달리, 팝적인 감성이 돋보이는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데이비드 길모어는 1980년대 신스팝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자신의 블루스 록 기타 연주 스타일을 유지했다.[6]
이 앨범은 길모어와 밥 에즈린이 공동으로 프로듀싱했으며, 토토의 제프 포카로(드럼), 피노 팔라디노(베이스), 스티브 윈우드, 존 로드(키보드) 등 다양한 게스트 뮤지션들이 참여했다.[17] 피트 타운젠드는 길모어의 요청으로 3곡의 가사를 썼고, 그중 "Love on the Air"와 "All Lovers Are Deranged" 두 곡이 수록되었다.[17]
길모어는 훗날 인터뷰에서 《About Face》에 대해 "돌이켜보면 훌륭한 순간들이 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가 현재 내 취향에는 너무 '80년대적'이다."라고 회고하기도 했다.
3. 1. 주요 곡 해설
"Murder"는 존 레논의 죽음에 대한 길모어의 분노와 슬픔을 표현한 곡이다.[7] 프렛리스 베이스 솔로와 어쿠스틱 기타 연주가 인상적이다."Love on the Air"와 "All Lovers Are Deranged"는 더 후의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에 참여한 곡들이다.[17] "Love on the Air"의 가사는 길모어가 타운젠드에게 도움을 요청한 후 하루 만에 쓰여졌다.[8]
"You Know I'm Right"는 핑크 플로이드의 멤버 로저 워터스와의 갈등을 암시하는 곡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존 레논의 "How Do You Sleep?"과 유사)[8]
"Cruise"는 당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순항 미사일 영국 배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곡이다.[8]
"Blue Light"는 이 앨범에서 싱글로 발매되었다.
4. 발매 및 반응
이 앨범에는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한 싱글 〈Love on the Air〉와 프랑수아 케보키안이 나중에 리믹스한 디스코 스타일의 싱글 〈Blue Light〉가 수록되었다.[7] 〈Blue Light〉는 1984년 2월 13일, 〈Love on the Air〉는 4월 24일에 발매되었다.[9] 앨범은 영국에서는 3월 5일에, 미국에서는 데이비드 길모어의 38번째 생일인 3월 6일에 발매되었다.[9] 〈All Lovers Are Deranged〉는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10위에 올랐다.[9]
4. 1. 상업적 성과
《About Face》는 영국과 미국에서 모두 차트 상위권에 진입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한 싱글 〈Love on the Air〉와 디스코 스타일의 싱글 〈Blue Light〉가 인기를 얻었다.[7][9] 〈Blue Light〉는 1984년 2월 13일에, 〈Love on the Air〉는 4월 24일에 발매되었다.[9] 앨범은 영국에서는 3월 5일에, 미국에서는 3월 6일에 발매되었다.[9] 북미 록 라디오에서는 〈All Lovers Are Deranged〉와 〈Murder〉가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All Lovers Are Deranged〉는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10위에 올랐다.차트 (1984) | 최고 순위 |
---|---|
독일 미디어 컨트롤 차트[12] | 24 |
노르웨이 VG-lista[13] | 10 |
스웨덴 스베리예토프리스탄[14] | 13 |
스위스 스위스 히트파라데[15] | 15 |
미국 빌보드 200[16] | 32 |
이 앨범은 전작에 비해 음악적, 상업적 성공을 의식하여 제작되었다. 앨범 홍보를 위해 MTV에 인터뷰와 뮤직 비디오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쳤다.[19] 1984년 3월부터 6월까지 유럽과 북미를 순회하는 대규모 콘서트 투어를 진행했으며, 이 투어는 미국에서 MTV 홍보 덕분에 흑자를 기록했다.[21]
4. 2. 비평가들의 평가
올뮤직의 톰 데멀론은 이 음반에 대해 "《About Face》에 수록된 곡들은 핑크 플로이드가 좀처럼 달성하려 하지 않았던 팝 감성을 보여준다"고 평하며, "《About Face》는 처음부터 끝까지 시선을 사로잡는 잘 다듬어진 록 앨범이다"라고 덧붙였다.[28]4. 3. 홍보 활동
길모어는 앨범 홍보를 위해 핑크 플로이드의 정책과는 대조적으로 언론과의 모든 인터뷰에 거의 응했으며, MTV에도 인터뷰 외에 뮤직 비디오를 제공했다.[19]1984년 3월부터 6월까지 유럽과 북미를 순회하는 대규모 콘서트 투어를 진행했다. 1984년 4월 30일 영국 해머스미스 공연에서는 닉 메이슨과 로이 하퍼가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다. 이 모습은 『David Gilmour Live 1984』 (일본 미발매)에 수록되어 있다.[20] 하지만, 이튿날 버밍엄 공연에서는 불과 200명 정도의 관객밖에 모이지 않았다.[20] 콘서트 투어가 반드시 성공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웠지만, 미국에서는 MTV에서 홍보한 덕분에 어떻게든 콘서트는 흑자를 기록했다고 한다.[21]
5. 곡 목록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Until We Sleep | 데이비드 길모어 | 5:15 |
2 | Murder | 데이비드 길모어 | 4:59 |
3 | Love on the Air | 피트 타운젠드, 데이비드 길모어 | 4:19 |
4 | Blue Light | 데이비드 길모어 | 4:35 |
5 | Out of the Blue | 데이비드 길모어 | 3:35 |
6 | All Lovers Are Deranged|미친 연인들영어 | 피트 타운젠드, 데이비드 길모어 | 3:14 |
7 | You Know I'm Right|아임 라이트영어 | 데이비드 길모어 | 5:06 |
8 | Cruise|크루즈영어 | 데이비드 길모어 | 4:40 |
9 | Let's Get Metaphysical|렛츠 겟 메타피지컬영어 (기악) | 데이비드 길모어 | 4:09 |
10 | Near the End|종언의 때영어 | 데이비드 길모어 | 5:36 |
이 앨범에는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한 싱글 〈Love on the Air〉와 프랑수아 케보키안이 나중에 리믹스한 디스코 스타일의 싱글 〈Blue Light〉가 수록되었다.[7] 〈Blue Light〉는 1984년 2월 13일 〈Cruise〉와 함께 발매되었고, 〈Love on the Air〉는 4월 24일 〈Let's Get Metaphysical〉과 함께 발매되었다.[9] 〈All Lovers Are Deranged〉와 〈Murder〉는 북미 록 라디오용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전자는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10위에 올랐다.
5. 1. Side One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곡들은 데이비드 길모어에 의해 작사/작곡되었다.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Until We Sleep | 데이비드 길모어 | 5:15 |
2 | Murder | 데이비드 길모어 | 4:59 |
3 | Love on the Air | 피트 타운젠드, 데이비드 길모어 | 4:19 |
4 | Blue Light | 데이비드 길모어 | 4:35 |
5 | Out of the Blue | 데이비드 길모어 | 3:35 |
이 앨범에서 "Blue Light"가 싱글로 발매되었다.
5. 2. Side Two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6 | All Lovers Are Deranged|미친 연인들영어 | 피트 타운젠드, 데이비드 길모어 | 3:14 |
7 | You Know I'm Right|아임 라이트영어 | 데이비드 길모어 | 5:06 |
8 | Cruise|크루즈영어 | 데이비드 길모어 | 4:40 |
9 | Let's Get Metaphysical|렛츠 겟 메타피지컬영어 | 데이비드 길모어 | 4:09 |
10 | Near the End|종언의 때영어 | 데이비드 길모어 | 5:36 |
6. 참여 인물
추가 인물 | 역할 |
---|---|
스티브 윈우드 | "Blue Light"의 해먼드 오르간, "Love on the Air"의 피아노 |
앤 더들리 | 신시사이저 |
존 로드 | 신시사이저 |
밥 에즈린 | 키보드, 오케스트라 편곡, 프로듀싱 |
스티브 란스 | 페어라이트 CMI 프로그래밍 |
킥 혼스 | 금관 악기 |
루이스 자르딤 | 타악기 |
레이 쿠퍼 | 타악기 |
로이 하퍼 | 백 보컬 |
샘 브라운 | 백 보컬 |
비키 브라운 | 백 보컬 |
미키 피트 | 백 보컬 |
내셔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
마이클 케이먼 | 오케스트라 편곡 |
기술 인력 | 역할 |
---|---|
앤디 잭슨 | 엔지니어 |
키트 울번 | 엔지니어 |
제임스 구스리 | 믹싱 엔지니어; 리마스터링 |
에릭 아서 톰린슨 | 오케스트라 녹음 |
더그 색스 | 마스터링 엔지니어 |
마이크 리스 | 마스터링 엔지니어 |
스톰 소거슨 (STd (Storm Thorgerson Design)으로 기재) | 커버 디자인 |
앨범은 핑크 플로이드의 미래가 불확실했던 시기에 엔지니어 앤디 잭슨과 함께 녹음되었다.[3] 앨범은 제임스 거스리에 의해 영국 런던의 메이페어 스튜디오에서 믹싱되었다.
길모어는 시간을 들여 "정말 좋은 앨범"을 만들고 "함께 연주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뮤지션들을 섭외하고 싶었다"고 말했다.[4] 앨범 참여 뮤지션은 제프 포카로(드럼), 피노 팔라디노(베이스), 딥 퍼플의 존 로드(키보드), 로이 하퍼와 샘 브라운(백 보컬), 마이클 케이먼(오케스트라 편곡, ''The Pros and Cons of Hitch Hiking'', ''The Final Cut'', ''The Wall'' 작업), 스티브 윈우드(키보드) 등이다.[7]
길모어가 사용하지 않은 곡도 있었다.[5] 로이 하퍼와 피트 타운센드에게 가사를 요청했으나, 그들의 가사가 자신이 공감할 수 없다고 느꼈다. 하퍼는 이후 이 곡을 ''Whatever Happened to Jugula?''(1985)에 "Hope"로, 타운센드는 ''White City: A Novel''(1985)에 "White City Fighting"으로 사용했다. 타운센드의 곡은 빠른 템포로, 길모어가 연주에 참여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David Gilmour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2012-07-12
[2]
웹사이트
RIAA: David Gilmour
http://riaa.com/gold[...]
riaa.com
2014-07-21
[3]
웹사이트
Record Collector Magazine, May 2003 Interview, by Daryl Easlea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Interview from 'The Source', by Charlie Kendal
https://web.archive.[...]
2010-03-17
[5]
서적
Pink Floyd - The Music and the Mystery
Omnibus
[6]
웹사이트
Careful With That Axe David Gilmour Interview
https://web.archive.[...]
Musician
1992-08
[7]
서적
Pink Floyd the visual documentary
Omnibus
[8]
서적
Guitar Masters: Intimate Portraits
Hal Leonard Corporation
[9]
웹사이트
The Official Site
http://www.pinkfloyd[...]
Pink Floyd
2013-11-01
[10]
웹사이트
'About Face' – David Gilmour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2-06-05
[11]
웹사이트
About Face - David Gilmour | Songs, Reviews, Credit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7-09
[12]
웹사이트
charts.de
http://www.officialc[...]
charts.de
2006-07-14
[13]
웹사이트
David Gilmour - About Face
http://norwegianchar[...]
norwegiancharts.com
2013-11-01
[14]
웹사이트
David Gilmour - About Face
http://swedishcharts[...]
swedishcharts.com
2013-11-01
[15]
웹사이트
David Gilmour - About Face
http://hitparade.ch/[...]
hitparade.ch
2013-11-01
[16]
웹사이트
David Gilmour - Chart history
http://www.billboard[...]
2013-11-01
[17]
서적
シャフナー、1993年、p.319
[18]
서적
ニコラス・シャフナー著 今井幹晴訳『ピンク・フロイド 神秘』宝島社、1993年、p.333
宝島社
[19]
서적
シャフナー、1993年、p.321
[20]
서적
シャフナー、1993年、p.323
[21]
서적
シャフナー、1991年、p.324
[22]
서적
Pink Floyd the visual documentary
Omnibus
[23]
웹인용
David Gilmour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2012-07-12
[24]
웹인용
RIAA: David Gilmour
http://riaa.com/gold[...]
riaa.com
2014-07-21
[25]
웹인용
Record Collector Magazine, May 2003 Interview, by Daryl Easlea
https://web.archive.[...]
[26]
웹인용
Interview from 'The Source', by Charlie Kendal
https://web.archive.[...]
2010-03-17
[27]
웹인용
'About Face' – David Gilmour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2-06-05
[28]
웹인용
About Face - David Gilmour | Songs, Reviews, Credit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